사화 (士禍) |
사화(士禍)란 조선시대(朝鮮時代)에 정치적으로
반대파에게 몰리어 신하[조신(朝臣)] 및 선비들이 참혹하게 재화(禍)를
입은 사건을 말한다.
|
|
계유사화, 병자사화(癸酉, 丙子士禍) -
1453년(조선 단종 1)부터 1456년(세조
2)에 걸쳐 수양대군(首陽大君, 세조)이 단종(端宗)을 축출하고, 왕위에
오르면서 절개있는 신하들에게 화(禍)를 입힌 사건이다.
|
|
무오사화(戊午士禍) -
1498년(연산 4)에 김일손(金馹孫)
등 신진사류(新進士類)가 류자광(柳子光)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(勳舊派)에
의하여 화(禍)를 입은 사건이다.
|
|
갑자사화(甲子士禍)
- 1504년(연산 10)에 연산군의 어머니
윤씨(성종의 비)의 복위(復位) 문제로 연산군이 일으킨 사건이다.
|
|
병인사화(丙仁士禍) - 1506년(연산 12)에 일어난 무오, 갑자사화의
연장된 사화로서 그때 화(禍)를 입지 않고 빠진 사람들에게 죄를 가하기
위하여 일어난 사건이다.
|
|
기묘사화(己卯士禍) - 1519년(중종 14)에 남곤(南袞), 심정(沈貞),
홍경주(洪景舟) 등 훈구파의 재상(勳舊派宰相)들이 당시 새로운 혁신을
감행한 젊은 선비들에게 화(禍)를 입힌 사건이다.
|
|
신사사화(辛巳士禍) - 1521년(중종 16)에 안처겸(安處謙) 일파들이
심정(沈貞), 남곤(南袞) 등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이다.
|
|
을사사화(乙巳士禍) - 1545년(명종 원년)에 왕실의 외척(外戚)인
대윤(大尹)과 소윤(小尹)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건이다.
|
|
정미사화(丁未士禍) - 1547년(명종 2)에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
여파로 일어난 사건이며, 일명 벽서(壁書)의 옥(獄)이라 한다.
|
|
을유사화(乙酉士禍) - 1549년(명종 4)에 이홍남(李洪男), 이홍윤(李洪胤)
형제의 난언(亂言)을 상주(上奏)하여, 이홍남이 역모죄로 몰려 아우
이홍윤 등이 능지처참(凌遲處斬) 되는 한편, 이에 연루된 많은 사람들이
화를 입은 사건이다.
|
|
계축사화(癸丑士禍) - 1613년(광해 5)에 영창대군(永昌大君)을
몰아내기 위하여 대북파(大北派)인 정인홍(鄭仁弘), 이이첨(李爾瞻)
등이 일으킨 사건이다.
|
|
기사사화(己巳士禍) - 1689년(숙종 15)에 서인(西人)과 남인(南人)들
사이에서 정치적 야욕으로 일어난 사건이다.
|
|
신임사화(辛任士禍) - 1721년(경종 1)에서 1722년(경종 2)
사이에 일어난 노론(老論)과 소론(少論)의 대립으로 신축(辛丑), 임인(壬寅)년
양[2]년에 걸쳐 일어났다고 해서 신임사화라고 하며 일명(一名) 임인옥(任寅獄)이라고도
한다.
|
|